최재천의 공부 (요약 및 질문 3개)
기간 : 20230721~20230819
기억하고 싶은 문장
You never know until you try.
수학은 관조하는 학문이 아니다. 직접 풀고 이해해야 하는 학문이다.
내용 정리
일을 회피하는 만능 변명
- 남의 밟을 밟으면 안 된다는 사고
- 환경부에 가면 산업통상자원부가.. 어디에 가면 다른 부서가..
- 총괄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는 것
알면 사랑한다
- 공부와 교육이 중요한 이유
- 갈등의 골이 깊으면 진영 논리로 사실을 외면
- 사실을 많이 알면 알수록 이해하고 사랑할 수 있음
자연이란 오묘하고, 자연이 알아서 조절한다
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시스템 2가지
1) 인간의 뇌 (Brain System)
2) 자연 생태계 (Natural Ecosystem)
답이 보이는 것 같아서 건너뛰면?
- 그때부터 안 풀림
-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야 문제가 풀리고 직관이 생성됨
인생 대부분의 문제는, 인식하고 숙고할 시간이 충분히 있다
- 그런데 왜 주어진 문제를 한정된 짧은 시간 안에 푸는 방법만 가르치는가?
- 대선 토론 -> 임기응변의 달인, 전시 사령관을 뽑는 토론인가?
지나친 완벽주의자들은 어느 단계까지 도달하지만 더 나아가지 못한다
외나무 다리를 아슬아슬 건너는 사람이 있다면?
- 간섭하지 말고 응원해주자
- 대신 떨어져도 안심할 수 있는 튼튼한 그물망(사회적 안전망)이 있으면 좋겠다
모두가 비슷한 생각을 하는 상황
- 조금 색다른 각도로 문제를 이해하자
- 회의 중 갑작스러운 순발력 X
- 혼자만의 시간을 통해 고민하며 생각을 정리한 결과 O
많은 일을 처리하는 방법
- 마감 1주일 전에 미리 끝낸다
답장을 안 하는 것
- 거절보다 나쁘다
함께 하는 일 열심히 but 자기 일 못 챙기면 -> 무시 당함
내 것은 열심히 but 같이 하는 일 얌체 같이 -> 동반추락
=> 둘을 잘 조율할 필요가 있음
독서는 일이다
- 100세 시대에 20대 초까지 배운 지식으로 수십 년 우려먹기는 불가능
- 독서량이 늘어나면 완전 새로운 분야를 접할 때 덜 힘들어짐
잘 된 과거에 집착하며 시대 변화를 읽지 못하면 망함
- 하지만 잘 되고 있는 것을 집어던지면서 다른 것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님
'이를 악물고 듣는다'
- 리더가 입을 열면 아무도 입을 열지 않는다
- 집단 지성을 이루고 창의성을 끌어내려면 리더는 어금니가 아프도록 입을 다물어야 함
새로 배운 단어
- 고르디우스의 매듭
- 매우 복잡하게 얽히고 설킨 매듭
- 대담한 방법을 써야만 풀 수 있는 문제를 비유
- 알렉산드로스의 칼
-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끊어버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칼
- 어려운 문제를 놀라운 발상을 통해 단번에 해결하는 것을 은유하는 표현 (콜럼버스의 달걀)
질문
- 본인의 삶(직업, 생활)과 관련이 없는 분야를 평생 학습해야 하는가? 이유는 무엇인가?
- 모두가 비슷한 생각을 하며 비슷한 의견을 낼 때, 기발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조직을 이끌어가는 사람들이 있다. 그들의 사고 방식 차이는 어디서 시작되는가?
- 현재 우리나라 공교육과 사교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? 학생들이 학교에서 수업을 듣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? 교사, 강사 간 강의 능력 차이가 생긴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인가? 공교육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?